2022. 4. 15. 11:47ㆍ카테고리 없음
중소벤처기업부는 「산학연 플랫폼 협력기술개발 사업」 운영기관으로 9개의 기관을 선정하였습니다.
산학연 플랫폼은 잠재력 있는 혁신 역량을 갖춘 초기 중소기업을 발굴합니다. 아울러 협력 R&D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 향상과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운영기관(플랫폼)은 중소기업 전담조직 보유 대학·연구기관입니다.
공동연구 개발기관은 연구전담 조직을 보유(보유예정 포함)한 중소기업입니다.
지원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
산학협력 플랫폼 R&D는 대학 보유 기술, 인력, 교육 등 혁신자원을 활용하여 혁신역량 초기 기업의 혁신역량 제고 및 기술개발을 지원합니다.
산연협력 플랫폼 R&D는 연구기관의 전문기술 활용, 신기술개발, 사업화 등 혁신역량 초기 기업을 지원합니다.
이들 대학과 연구기관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자금을 지원 받으며, 각 기관별로 20개의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합니다.
운영기관 선정 입니다.
제조 공정 분야의 경우 경량 복합소재·초미세 반도체 공정 개발(한국공학대), 디지털복제물(디지털트윈) 기반 지능형(스마트) 제조 고도화(창원대), 구미산업단지 내 대기업과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 지능형(스마트) 제조 생태계 조성(금오공대) 등으로 제조 분야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합니다.
탄소 중립 원천기술 고도화(기계연구원), 핵심 소재의 실증·실용화 지원을 통한 첨단 소재 기술의 자립화(재료연구원), 융복합 전자소재·산업용 사물인터넷·차세대 전지 등 정보기술(IT)·제조융합 분야 선도 기술 보급·확산(전자기술연)등으로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도 지원합니다.
신산업 분야에서는 관제탑과 활주로 등 항공 기반(인프라)을 바탕으로 드론,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교통 분야 지원(한서대), 산·학·연·병 클러스터와 연계한 생명공학(바이오)벤처 생태계 조성(조선대),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신개념 건겅관리(헬스케어) 산업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신산업 분야 창업·벤처기업도 이번 사업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들 대학과 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을 통해 확인하거나 중소기업통합콜센터(1357)로 문의하면 됩니다.
기술창업을 촉진하고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산·학·연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체계가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중요한 기반인 중소기업이 산학연 플랫폼 협력기술개발 사업을 통하여 크게 성장하고 발전하기를 희망합니다.